본문 바로가기
사진

DSLR카메라로 번개사진을 찍어보자

by goonigoona 2023. 9. 18.
반응형

□번개사진 찍기

번개사진을 종종 봤을 것이다. 하늘에서 바다나 강 위로, 혹은 나무나 건물 위로 내리치거나 구름 속에서 번쩍이는 멋진 장면을 떠올릴 수 있다.

번개사진은 대부분 비가 오는 악천후에서 가능한 사진이라 쉽게 찍기가 힘들다. 하지만 운이 좋게 비가 억수로 쏟아지며 천둥 번개가 치고 난 뒤 비가 그친 후 얼마동안 번개가 번쩍일 때가 있다. 이때의 번개는 조금 멀리서 보이기 때문에 구름 뒤에서 밝게 빛나기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그 중에 몇 컷은 건질 수 있다. 번개를 찍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

Canon EOS 6D 24-105mm F/6.3 S/2.4sec ISO/200

▷준비물

 DSLR카메라, 광각렌즈(30mm 이하), 삼각대, 카메라 배터리 여분,

 

▷세팅 방법

1.삼각대 설치

 

2.카메라 메뉴 중 미러락업 on

광량이 많지 않은 환경에서는 최대한 카메라가 흔들림이 없어야 하는데, DSLR카메라의 경우 셔터를 누르면 미러장치가 올라가고 내려가며 카메라를 미세하게 흔들 수 있다.(미러리스는 미러가 없는 카메라이기 때문에 이 기능이 없을 수 있다)

 

3.렌즈 손떨방 & 자동초점조절 off

두 기능 모두 미세 모터가 작동하여 카메라에 진동을 줄 수 있으니 꺼두는 것이 좋다.

 

4.번개가 자주 보이는 곳을 향해 카메라 설치

어디서 칠지 모를 때는 구름이 많은 곳으로 일단 향해 설치

 

5.조리개(F)5-7, 셔터스피드는 2-12, ISO200

정답은 없다. 해보니 이정도 세팅이면 담을 수 있었다.

 

6.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 기종이면 핸드폰과 연결

와이파이 연결이 안되는 기종이면 수동으로 위와 같이 세팅하고 타이머를 2초 정도로 설정하고 셔터를 누른다

 

7.bulb모드 선택 후 촬영(와이파이 연결 안되는 기종은 패스!)

bulb모드를 선택하면 셔터 버튼을 누르면 촬영이 시작되고 다시 누르면 촬영이 종료된다. 즉 그 시간만큼 셔터스피드가 결정되는 것이다.

 

8.몇 분에 한 번씩 번개를 볼 수 있는지 대충 생각하고 그 방향을 향해 셔터를 일정하게 누른다.

 

9.셔터가 열려있는 동안(2-12) 번개가 번쩍였다면 잡는데 성공!!

만약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으면 조리개를 조금 낮추거나(열거나) 높이고(조이고), ISO를 조금 내리거나 높여서 조정하면 된다.

Canon EOS 6D 24-105mm F/6.3 S/3.3sec ISO/200

100번 이상 셔터를 눌렀는데 담지 못할 수도 있다. 하지만 실망하지 말고 다시 도전하자! 대물 번개를 잡을 때까지!!
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