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초점(focus)
카메라의 초점(focus)은 사진을 찍을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, 이미지의 선명도와 해상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. 초점을 잘 조절하면 원하는 주제나 요소가 선명하게 나타나고, 배경은 흐릿하게 표현된다. 즉, 사진의 주제를 강조하면서 시각적으로 더 흥미로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.
▷자동 초점 (Auto Focus):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카메라가 주요 피사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게 된다. 일반적으로 셔터 버튼을 반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.
▷수동 초점 (Manual Focus): 일부 카메라나 렌즈는 수동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링 또는 다이얼을 가지고 있다. 수동 초점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, 특별한 촬영 조건이나 효과를 주려고 할 때 유용하다.
▷포커스 포인트 선택: 카메라에서 포커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주요 주제를 가리키는 포인트를 선택하게 된다. 이때 주요 주제가 화면 중앙이 아니더라도 초점을 옮길 수 있게 해준다. 반셔터를 누른 상태로 피사체를 옮기거나 카메라 자체에 포커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. 주로 여러개의 점으로 표현된다.
▷포커스 모드: 일부 카메라는 다양한 포커스 모드를 제공한다. 예를 들어, 단일 포커스 모드(single focus)는 한 번 초점을 맞추면 해당 초점을 고정시키는 반면, 연속 포커스 모드(continuous focus)는 움직이는 대상에 계속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.
▷하이퍼포커스: 하이퍼포커스는 초점을 조절하여 무한대부터 가까운 대상까지 모든 것을 포함하는 초점 범위를 나타냅니다. 이는 풍경 사진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.
▷포커스 피크(피킹): 일부 카메라는 화면 상의 초점 지점이 어디인지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포커스 피크 기능을 사용한다. 초점을 조절하는 과정이 보다 쉬워진다.
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할 때는 주제나 대상의 거리, 주변 환경 및 촬영 목적에 따라 적절한 초점을 설정해야 한다. 초점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사진이 흐릿하거나 원하는 대상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초점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.
하지만, 때로는 수동초점을 이용하여 보다 흥미롭거나 감성적인 장면을 표현할 수 있다. 물론 대부분의 사진은 초점이 맞지 않으면 실패한 사진일 확률이 크니 무조건 초점은 잡아야 성공으로 가는 길이라는 걸 잊지 말자^^

'사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SLR 카메라 초보탈출을 위한 상황별 세팅방법 (0) | 2023.09.13 |
---|---|
DSLR 카메라 초보탈출을 위한 렌즈종류 알아보기 (0) | 2023.09.12 |
DSLR 카메라 초보 탈출을 위한 구도 알아보기 (0) | 2023.09.11 |
DSLR 카메라 초보 탈출을 위한 노출 알아보기 (1) | 2023.09.11 |
DSLR 카메라 초보 탈출을 위해 알아야 할 것 (0) | 2023.09.08 |